주요국의 바이오발명 유형별 특허허용여부 정리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바이오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바이오 기술은 향후 미래를 좌우할 산업으로도 더욱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바이오 기술에 대한 특허 확보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특허는 발명, 즉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고도한 것에 부여되나 공공의 질서 또는 선량한 풍속에 어긋나거나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가 있는 발명은 공공성을 고려해 특허를 받을 수 없다. 특히, 발명이 아닌 발견의 관점에서 보면 바이오 발명의 특허 허용 범위는 더욱 좁아질 수 있다.  다만, 바이오 발명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 특허 허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지만 인간의 존엄성 등을 고려하여 특허 허용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이 상이하므로, 이하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의 다양한 바이오 발명에 대한 특허 허용 여부에 대해 알아본다. 

이 컨텐츠는 회원만 보실 수 있습니다. login 부탁드립니다.

재성 송

송재성 변리사

생명공학 전공자로서 바이오 분야 특허 출원, 심판, 소송 및 감정을 주 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YOUME IP 블로그를 통하여 고객들께 도움이 되는 IP 지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문의사항은 아래의 이메일 아이콘을 통하여 연락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