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차 디자인 판례 요약

판례는 법률은 아니나 재판의 규범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출원, 심판, 소송 모두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지식재산권 분야는 새로운 기술이 속속 등장함에 따라 기존의 법률로는 해결이 어려운 사안이 계속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법률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사안에 대해 판례가 그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의 디자인 판례를 이해하기 쉽게 (1) 쟁점, (2) 법원 판단, (3) 시사점으로 구분해 요약 설명한다.

1. 디자인의 유사여부 판단에 관하여 – 특허법원 2022. 6. 16. 선고 2021허4676 판결(확정) 【등록무효(디)】

NO 항목 내용 설명
1 쟁점

아래 이 사건 등록디자인과 선행디자인의 유사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구분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저면도
이사건
등록 디자인
       
선행 디자인  
2 특허법원 판단 특허법원은,
이 사건 등록디자인과 선행디자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분리한 후,

공통점 차이점
①구형의 머리 부분과 가는 원기둥 형태의 다리 부분으로 구성된 점 ②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의 크기 및 길이의 비율 ③정면을 기준으로 머리 부분은 좌측으로 약간 긴 형태의 구형으로 되어 있고, 머리 부분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세로로 길쭉한 타원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는 점 ④배면을 기준으로 머리 부분의 상단(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이 이어지는 부분)에 세로로 긴 타원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작은 원 형태의 홈 2개가 형성된 점 ㉮ 정면을 기준으로 이 사건 등록디자인은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한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뿐이지만() 선행디자인은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홈의 우측으로 원형의 작은 홈과 가로로 길쭉한 타원형 홈 등 두 개의 작은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점() ㉯ 이 사건 등록디자인의 머리 부분은 두 개의 반구(다리 부분과 연결된 것과 스피커가 형성된 것)가 결합된 것으로서 그 분할선이 외부에 드러나지만(), 선행디자인의 머리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분할선이 존재하지 않는 점() ㉰ 배면을 기준으로 이 사건 등록디자인은 머리 부분 상단에 세로로 긴 타원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그 우측과 하단에 각각 원형의 홈이 형성되었으나(), 선행디자인은 머리 부분에 위치한 세로로 긴 타원 형태의 홈의 위치가 다르고 또한 그 우측과 하단에 각각 원형의 홈이 형성된 점()

공통점 ① 내지 ④는 대상 물품인 이어폰의 전체적인 형상으로서 양 디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대상 물품을 착용하였을 때에도 외부에 드러나 눈에 잘 띄는 부분이므로 심미감에 큰 영향을 주는 지배적 특징에 해당하는 반면, 차이점 ㉮ 내지 ㉰는 양 디자인을 직접 대비하지 않고서는 쉽게 알아차리기 어려울 정도로 세부적인 차이에 해당하여 전체적인 심미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등록디자인과 선행디자인은 그 지배적인 특징이 유사하여 앞서 본 차이점들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심미감이 유사하다고 판시하였다.

3 시사점 양 디자인의 지배적인 특징이 유사하면 일부 세부적인 차이가 있더라도 전체적인 심미감이 유사하다고 판단해야 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자료: 2022년 10월차 디자인 판례 요약

성인 박

박성인 변호사/변리사

유미법률사무소의 대표변호사로서, 2007년 변리사시험에 합격한 후 변리사로서 지식재산권 전반에 대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여 절차적, 실체적인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으며, 2015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이후 변호사로서 지식재산권 분야의 다양한 소송을 수행하면서 그 전문성을 인정받아 대한변호사협회에 지식재산권 전문변호사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YOUME IP 블로그의 지식재산 관련 소송 및  판례를 통해 IP 업무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