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차 상표 판례 요약
판례는 법률은 아니나 재판의 규범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출원, 심판, 소송 모두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지식재산권 분야는 새로운 기술이 속속 등장함에 따라 기존의 법률로는 해결이 어려운 사안이 계속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법률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사안에 대해 판례가 그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의 상표 판례를 이해하기 쉽게 (1) 쟁점, (2) 법원 판단, (3) 시사점으로 구분해 요약 설명한다.
1. ‘’이 ‘
’, ‘
’과 동일, 유사한지 여부 – 특허법원 2022. 7. 7. 선고 2021허4393 판결(확정) 【등록무효(상)】
NO | 항목 | 내용 설명 |
1 | 쟁점 |
‘ |
2 | 특허법원 판단 | 특허법원은, i) ’만석장‘은 ’만석‘과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서로 띄어쓰기 없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만석장’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그 호칭도 3음절로 비교적 짧고 간단하여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로서는 전체로 호칭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보이는 점, ii) ‘만석장’은 전체로서 ‘아주 많은 곡식’이나 ‘모든 자리에 사람이 다 차서 빈 자리가 없음’의 의미가 있는 ‘만석’이라는 단어와 ‘고급 여관’ 또는 ‘저택’의 뜻을 더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접미사 ‘장(莊)’이 유기적인 일체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많은 곡식을 수확하는 집’ 내지 ‘좌석이 가득찬 집’이라는 독자적이고 새로운 의미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 ![]() ![]() ‘ ![]() ![]() ![]() ‘ ![]() ![]() ![]() ![]() ‘ ![]() ![]() ![]() ‘ ![]() ![]() ![]() |
3 | 시사점 | 비교적 짧고 간단하여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로서는 전체로 호칭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보이는 표장을 임의로 분리하여 섣불리 일부분의 호칭이 중복되는 다른 표장과 동일, 유사하다고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2. 묵시적으로 통상사용권을 설정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 – 특허법원 2022. 10. 28. 선고 2022허2295 판결(확정) 【등록취소(상)】
NO | 항목 | 내용 설명 | ||
1 | 쟁점 |
묵시적으로 통상사용권을 설정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그리고 묵시적 통상사용권자의 사용으로 제119조 제1항 제3호의 취소사유를 면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
||
2 | 특허법원 판단 | 특허법원은, 상표법상 통상사용권은 단순히 상표권자와 사용자 간의 합의만에 의하여 발생하고(대법원 1995. 9. 5. 선고 94후1602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합의는 반드시 문서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거나 어떠한 형식을 갖추어야만 한다고 할 수도 없으며, 묵시적 행위에 의하여도 할 수 있다고 할 것이라고 설시하면서, 앞서 본 바와 같은 임대차계약 체결의 경위 및 내용, D가 H 출장뷔페 사업장을 인수․운영하고 있는 실태, I의 지위, 상표권자(회사)가 D가 이 사건 등록서비스표를 사용하여 출장뷔페 사업을 하는 데에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점 등을 모두 고려하면, 상표권자(회사)는 I를 통하여 D에게 명시적으로 이 사건 등록서비스표에 대한 통상사용권을 설정해주었거나 적어도 묵시적으로 이 사건 등록서비스표에 대한 통상사용권을 설정해준 것이라고 봄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D를 이 사건 등록서비스표의 통상사용권자로 인정하였고, D가 이 사건 등록서비스표를 사용하였음을 이유로 이 사건 등록서비스표에 상표법 제119조 제1항 제3호에 해당하는 등록취소 사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
||
3 | 시사점 | 상표법상 통상사용권은 상표권자와 사용자 간의 합의만에 의하여 발생하고, 위와 같은 합의는 묵시적 행위에 의하여도 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참고자료: 2022년 10월차 상표 판례 요약

유미법률사무소의 대표변호사로서, 2007년 변리사시험에 합격한 후 변리사로서 지식재산권 전반에 대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여 절차적, 실체적인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으며, 2015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이후 변호사로서 지식재산권 분야의 다양한 소송을 수행하면서 그 전문성을 인정받아 대한변호사협회에 지식재산권 전문변호사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YOUME IP 블로그의 지식재산 관련 소송 및 판례를 통해 IP 업무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